2025년부터 국내 주식과 금융소득에 대한 과세 체계가 달라집니다. 단순히 ‘얼마를 벌었느냐’보다, 어떤 수입이었는지에 따라 적용되는 세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종합소득세 구간별 세율, 주식 소득 포함 여부, 새로운 금융투자소득세 제도, 그리고 사례 중심의 종합 정리까지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1. 2025년 종합소득세 구간별 세율과 계산 공식
2025년 귀속분 종합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누진세율 구조를 따릅니다. 과세표준은 총소득에서 각종 공제를 뺀 금액이며, 여기에 해당 구간의 세율과 누진공제를 적용해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과세표준 (원) | 세율 | 누진공제액 (원) |
---|---|---|
14,000,000 이하 | 6% | – |
14,000,000 초과 ~ 50,000,000 이하 | 15% | 1,260,000 |
50,000,000 초과 ~ 88,000,000 이하 | 24% | 5,760,000 |
88,000,000 초과 ~ 150,000,000 이하 | 35% | 15,440,000 |
150,000,000 초과 ~ 300,000,000 이하 | 38% | 19,940,000 |
300,000,000 초과 ~ 500,000,000 이하 | 40% | 25,940,000 |
500,000,000 초과 ~ 1,000,000,000 이하 | 42% | 35,940,000 |
1,000,000,000 초과 | 45% | 65,940,000 |
예시
과세표준 60,000,000원인 경우
→ 60,000,000 × 24% = 14,400,000
→ 14,400,000 – 5,760,000 = 8,640,000원
2. 주식 수익, 종합소득세에 포함될까?
주식으로 벌어들인 수입이 모두 종합소득세 대상은 아닙니다. 소득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소득 종류 | 종합소득세 포함 여부 | 비고 |
---|---|---|
국내 상장주식 양도차익 | 포함 안 됨 | 2024년까지 비과세, 2025년부터 금융투자소득세 대상 |
국내 상장주식 배당금 | 포함됨 | 연간 2천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
해외 주식 양도차익 | 포함 안 됨 | 양도소득세 별도 신고 |
해외 주식 배당금 | 포함됨 | 종합소득세 대상 |
비상장주식 양도차익 | 포함됨 | 종합소득세 대상 |
즉, 양도차익은 대부분 종합소득세에 포함되지 않지만, 배당금은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종합소득세로 과세됩니다.
3. 2025년부터 시행되는 ‘금융투자소득세’ 제도
2025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금융투자소득세 제도가 시행됩니다. 이로 인해 국내 상장 주식의 양도차익도 과세 대상이 됩니다.
기존: 국내 상장주식 양도차익은 비과세
변경 후: 연간 5천만 원 초과 양도차익 → 금융투자소득세 부과 (20~25%)
분리과세: 종합소득세와 별도로 신고
과세 대상: 주식, 채권, 파생상품, ELS/DLS 등 대부분의 금융투자상품
배당소득은 여전히 기존 기준 유지: 2천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와 합산 과세
즉, 앞으로는 양도차익도 세금 대상이 되며, 일정 기준 초과 시에는 반드시 금융투자소득세 신고가 필요합니다.
4. 실제 사례로 이해하는 종합 정리
코스닥 주식으로 5천만 원 벌었어요.
→ 2024년까지는 비과세. 2025년부터는 금융투자소득세 대상. 연간 양도차익이 5천만 원 이하라면 과세 없음.
배당금으로 3천만 원 받았어요.
→ 2천만 원 초과분(1천만 원)은 종합소득세에 포함됨. 근로소득 등과 합산해 세율 적용.
미국 주식에서 양도차익 1천만 원, 배당금 500만 원 발생
→ 양도차익은 별도 신고 후 양도소득세 납부
→ 배당금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2천만 원 이하로 분리과세)
비상장주식 투자로 1억 수익 발생
→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에 포함되어 고세율 구간에 진입할 수 있음
결론
2025년 종합소득세는 기존 구조와 동일하나, 주식 수익에 대한 과세체계는 달라집니다.
국내 상장주식의 양도차익은 2025년부터 금융투자소득세로 전환되어 분리 과세됩니다.
배당금, 해외소득, 비상장수익은 여전히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소득 종류에 따라 과세 여부가 완전히 달라지므로, 정확한 구분이 필수입니다.
더 궁금한 세부 사례나 실제 절세 전략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단순한 세율보다 소득 분류의 정확한 이해가 절세의 시작입니다.